지원동기

저는 '내 코드가 실제로 움직인다' 라는것에 대한 희열을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제가 알고있는 지식을 통해서 실제로 직접 눈으로 보이는 클라이언트를 만드는것은 저에게 짜릿함을 안겨줍니다. 더 나은 결과물들을 사람들에게 제공하고자 지식을 습득하려 노력했고, 제 역량을 검증받기 위해서, 여러 활동들에 참여하였습니다.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쓰이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서, 제 자신을 더욱 단련하고자 합니다.

관심분야

클라이언트 개발, 특히 웹 프론트엔드 개발에 관심이 많습니다. 기기에 종속되기 쉬운 여러 클라이언트 개발과는 다르게, 웹 프론트엔드 개발은 비교적 기기에 덜 종속되는 특징을 가지는 점이 관심을 가지게 된 요인인것 같습니다. 요즈음의 PC, 모바일 모두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고, 즉 상당히 많은 수의 기기에서 제가 작업한 서비스를 사용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UI/UX 디자인에도 관심이 많아, 피그마 등 툴의 사용법을 익히고 팀 프로젝트 등 제가 클라이언트 개발을 할 때에는 많은 부분을 제가 맡고 있습니다.

교내외 활동 및 경력

이휘찬 github repo : https://github.com/kasterra 2024년 1학기에 학부연구생 활동으로 학부 프로그래밍 실습 수업의 채점, 성적관리를 위한 KOJ 시스템의 웹 프론트엔드를 개발하였고, UI/UX 디자인을 맡았습니다.

또한2023년 2학기에 소프트웨어 공학 연구실에서의 학부연구생 활동으로, AI 모델을 기반으로 한 섬유의 물성 역공학 계산 시스템의 웹 인터페이스를 제작하였습니다.

2022년 7월 18일부터 2022년 12월 16일까지 네이버 커넥트재단에서 진행하는 부스트캠프 웹・모바일 7기에 참여하였습니다. 교육생들이 연사로 발표하는 '부스트컨퍼런스' 행사에 초빙되어 제가 운영하는 기술 블로그에서 28일간 조회수 1383건을 기록한 JS 생태계에서의 의존성 관리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2021년 10월부터 2022년 7월까지 Google Developers에서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교육과정인 GDSC KNU의 1기 멤버로 참가했습니다. 스터디 기간동안 FrontEnd 1팀의 스터디를 리드하였습니다.

2018년 3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학내 정보보안 동아리 KERT 활동을 하였으며, 2019년에는 회장을 맡았습니다. 매달 정기 세미나에서 CS 지식을 공유하였으며, 지역 학교인 경구중학교에서의 교육 봉사를 진행하였고, 2018년, 2019년 우수 동아리에 선정되었습니다.

기타 저의 경험들은 노션 페이지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성격의 장단점

저의 성격을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단어는 '몰입' 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나에 꽃히면 끝을 보는 사람입니다. 학내 채점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도, 함께 개발을 진행하는 서버 담당을 하는 학우, 연구실 연구원 분들도 저의 열정에 감탄하셨습니다. 위의 활동란에서 언급했던 네이버 커넥트재단에서 진행한 부스트캠프 웹・모바일 7기 활동에서도 교육생들과 운영진 분들이 모두 제 이름을 알 정도로 학습에 대한 몰입이 매우 깊었습니다. 하지만 이 성격이 절대적으로 도움만 되었던것은 아니었던것 같습니다. 저는 부스트캠프 웹・모바일 7기 기간동안에 좀 더 깊이 알고 싶다라는 저의 욕심 때문에 스스로 '토끼굴'에 빠졌던 적이 많았습니다. 근본을 파악해야 한다는 집념 때문에 제 시간 내에 작업을 마치지 못하기도 했습니다만, 여러 경험들을 통해서, 학부연구생으로 활동하고 있는 지금은 점진적인 리팩토링을 점점 체화시키며, 개발 생산성과 코드의 유지보수성에 대해서 점점 알아가고 있는 중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장실습 수행 목표

이미 현장실습을 해본 인턴 학생들의 후기들처럼 저 또한 실제 기업에서의 업무 프로세스를 저의 것으로 온전히 체화시키며, 여러 경험들로 다져진 '학생 개발자 이휘찬'이 검증받는 시간이고 싶습니다.

GitHub - kasterra/bottle-app

중간보고서

일일업무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