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 고심하며,

지식공유에 힘쓰고 있습니다.

개발 학습 입문 강의를 수강하면서부터 ‘쉬운 말’로 풀이하기 위해 시작한 블로그로, 16개월 동안 누적 노출수 33.9, 클릭수 2.26을 기록한 현재까지 저의 지식 공유의 축을 맡고 있습니다.

기술적/비기술적 방면으로 여러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하여, 오프라인 활동들을 통해 지식 공유 활동에도 참가하였습니다.

KakaoTalk_Photo_2024-12-19-19-16-41-removebg-preview.png


4

실제 운영된 프로젝트

94

기술블로그 외부 링크 수

5+

스터디 및 특강 리드 횟수


Skills

Programming

Tools

Tech Blog

Kasterra’s Archive 라는 이름으로, 프론트엔드쪽 지식을 중점으로 학습한 내용들을 정리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공식 문서나 기타 학습 자료들을 읽으면서, **‘조금 더 친절한 튜토리얼’**이 필요하다 생각한 부분이나, 한국어 자료가 없는 튜토리얼을 캐치하여 아티클을 작성하였고, 2000회 이상 에서 많게는 4900회까지 조회되는 자산이 되는 블로그 컨텐츠들을 제작할 수 있었습니다.

단순 조회에 끝나지 않고, 여러 블로그들에 참고자료로 인용되기도 하며 역링크 발생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image.png

yarn berry로 React.js 프로젝트 시작하기 (4900회 이상 조회)

yarn berry로 React.js 프로젝트 시작하기 | Kasterra's Archive

2022년 당시, 토스의 기술 도입 등으로 yarn berry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지만, 입문자의 수준에서 관련 정보들이 산재되어 있어서, 이를 모아서 보기 위한 정보글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작성 하였습니다.

npm과는 다른 특성 때문에 생길 수 있는 에러들에 대한 정보들을 모아 많은 관심과 인용들을 받을 수 있었고,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부스트컨퍼런스에서의 발표도 진행 할 수 있었습니다.

Google Search Console 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글 인용

Google Search Console 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글 인용

React-beautiful-dnd 튜토리얼 시리즈 (최대 2000회 이상 조회)

React-beautiful-dnd 알아보기 ① | Kasterra's Archive

트렐로 클론코딩 등, 입문자의 학습 수요가 상당한 라이브러리이지만, 한국어로 된 단계별 튜토리얼이 존재하지 않아, 작성하게 된 글입니다.

github에 클론 가능한 레포를 업로드 하고, tag 기능을 통해서 직접 코드를 실행시켜 볼 수 있도록 학습 자료들을 구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