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email protected]
Phone: 010-5793-1687
Address: 부산광역시 연제구 아시아드대로 39
Blog : https://kasterra.github.io
문제를 해결하며 가치를 창출하는 개발자, 이휘찬입니다.
학생 시절 직접 겪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부 연구실에서 Online Judge 시스템을 6개월 동안 개발하여, 경북대학교 공식 도메인(https://coding.knu.ac.kr)을 취득하여 성공적으로 배포한 경험이 있습니다.
지식의 확산과 공유를 중요시합니다.
16개월 동안 누적 노출수 33.9만, 총 클릭수 2.26만을 기록한 기술 블로그 운영을 통해 학습한 지식을 공유하고 있으며, 5회 이상의 스터디를 리드하며 동료들과의 협력을 이끌어냈습니다.
또한, 네이버 1784 사옥에서 진행된 부스트컨퍼런스 연사와 GDSC KNU 1기 활동을 통해 오프라인에서도 지식의 가치를 나누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효율성을 고민하며 팀에 기여합니다.
산학협력 실습 기간 동안 사내 정보의 체계적 관리와 프로젝트 문서화를 주도하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 도입을 이끌었습니다. React 기술 PT를 통해 팀원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단기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했으며, 이러한 경험을 기반으로 별도 계약을 통해 두 개의 서비스 퍼블리싱에도 기여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자 (인턴 + 연장 근무)
지역 사회의 IT 프로젝트를 메인으로 하는 기업인 Flash21에서, Admin Page를 비롯한 웹 개발과, React Native를 사용한 크로스플랫폼 앱 개발을 담당하였습니다.
레거시 라이브러리용 git patch 개발
JS가 타겟 OS용 네이티브 코드를 감싸는 형태의 React Native 특성상, npm 등에 배포된 라이브러리의 의존도가 높습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가 유지보수 되지 않으면, Breaking change가 잦은 React Native 환경에서 빌드되지 않는 일이 많았습니다.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중인 React native의 API에 맞게 라이브러리 내부 코드를 수정하고, 이를 반영하는 git patch를 사내용으로 만들고 이를 문서화 하였습니다.
Native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웹뷰 컴포넌트 구축
Flash21의 메인 솔루션인 단체 맞춤형 SNS 어플리케이션 MMATE의 공통 웹뷰 컴포넌트를 개발하였습니다.
카카오맵, 다음 주소 입력용 웹뷰 컴포넌트를 구현하고, 에러 메세지를 정의하여 문서화 하였습니다.
사내 인프라 개선
파편화된 개발 관련 문서를 Notion으로 정리하여 팀 위키를 구축하였습니다.
SVN 기반 레거시 시스템을 사내 여유 자원을 활용하여 GitLab으로 전환하여, 매 학기 들어오는 학생 인턴 등 단기 인력들에 대한 추가적인 인수인계 비용을 절감하였습니다.
대면 대화로만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업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카카오워크 업무 메신저를 도입하였습니다.
사내 지식 공유 세션 진행
React의 Reconcilation과, 실제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이점을 발표하였습니다.
학부연구생
연구실 연구과제 지원과 학부 실습 환경 개선을 위한 개발 및 운영을 담당했습니다.
교내 실습용 Online Judge 개발
기존 사용되던 오픈소스용 Online Judge는 영어로 진행되는 알고리즘 대회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음